마케팅 쉽게 따라하기

UTM 설정하기 (GA로 데이터 분석)

비미_ 2023. 6. 24. 15:50
반응형

utm을 왜 설정할까? 

 

답은 명확하게, 유저가 어느 경로를 통해 들어왔는지 파악하기 위해서이다.

유저가 네이버를 통해 들어왔는지, 구글을 통해 들어왔는지, 어떤 광고를 통해 들어왔는지 볼 수 있도록 구분해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.

 

utm을 잘 설정하면 GA에서 구분해서 확인 가능한것!

그럼 왜 구분해?

이런 질문을 할 수 있다. 이것도 명확하게 답을 줄 수 있다. 성과가 좋은 매체를 찾기 위해

 

각 매체별 유입고객이 일으키는 전환을 확인하면, 어떤 매체에 노출했을 때 가장 전환을 잘 일으켰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. 간단하지요?

 

utm은 매체별로 나눌 뿐만 아니라 소재별로도 나눌 수 있다는 점..!

utm 코드 구성을 봐보자

 

 

UTM 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?

 

utm은 Urchin Tracking Module , 즉 url 매개변수

 

 

UTM은 url에 뒤에 붙여주면 되는데

url + utm_source=소스&utm_medium=매체&utm_content=콘텐츠&utm_term={query}&utm_campaign=캠페인

이게 기본 구성이다.

 

- source : 매체별 대분류라고 생각 (naver / kakao / google 등)

- medium : 어떤 방식의 광고인지 (da / sa / cpc / cpm / sms 등)

- content : 소재별로 구분, 타깃별 구분 자유

- term : 키워드 (SA에서만 활용) → 보통 {query}라고 넣음

- campaign : 자유

 

단, 클라이언트마다 utm 구분 니즈가 다르기 때문에 내부 규칙을 가장 우선시하는 게 중요하다. 그 외의 경우 실무자가 알아보기 쉽게 설정하면 된다!

 

UTM 만들어보자

utm 만들기 어렵지 않다 ㅎㅎ  나중에 값만 넣어도 변경할 수 있게 엑셀 수식만 잘 걸어두면 좋다.

엑셀은 마케팅과 절대 떨어질 수 없으니 필수 함수는 알아두자. 적어도 구글링 할 수 있을 정도의 이해도는 챙겨두자.

 

 

utm이 걸린 예로 올리브영의 브랜드검색을 가져와 보았다.

체킹 한 부분을 눌러보았을 때 아래와 같은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.

https://www.oliveyoung.co.kr/store/main/main.do?oy=0&_CAD=nbsa03&utm_source=naver&utm_medium=brand_search&utm_campaign=onpro_emnet_main_0101_1231&utm_content=pc_main_text

 

→ 네이버의 브랜드검색에서 드어왔구나 / 자기들만 알아볼 수 있는 캠페인 값(온라인 프로모션 어쭈구겠지?) / PC의 메인 텍스트로 유입이 되었구나 

이런식으로 확인하는 것!

 

utm 생성이 어렵다면 url 빌더도 있으니 걱정하지 말고 세팅해 보자!

https://ga-dev-tools.google/campaign-url-builder/

 

utm 생성 시 주의 사항!!

1/ url에? 는 꼭 1개만 있어야 함 → 여러 개 있거나 없다면 구글 트래킹이 정상작동하지 않는 점 주의

    └ 기존 url에? 가 있다면 &로 utm_soource를 연결하면 되고 기존 url에? 가 없다면? utm_source로 연결하면 된다.

2/ utm을 다 걸었다면 정상적으로 랜딩이 되는지 더블 체크는 필수!

 

실수 없는 광고쟁이가 되어봅시다 :)

 

반응형